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뉴스 및 정보★/-. 부동산 뉴스

50대 · 자영업자 가계부채 '위험'

 

가구당 평균자산 2억6천만원…양극화 심화
韓銀·통계청 가계조사

 

847810 기사의  이미지

 

우리나라 가계의 평균 자산은 작년보다 늘었고, 부채 증가 속도는 떨어졌다. 결국 가계의 순자산은 늘어났다.


그러나 전체 가계 중에서 소득 상위 20% 부자들의 자산비중이 크게 늘어나면서 나머지 구간에 있는 가계들의 자산이 전체 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모두 전년보다 감소했다. 특히 50대와 자영업자들의 재무상태는 `위험`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양적 안전성은 늘어났지만 취약계층의 재무상황은 더 악화됐음을 입증한 조사결과로 읽을 수 있다. 특히 통계청의 조사결과에는 각 가계들이 갖고 있는 노동력(인적자산)은 자산으로 평가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어 가계재무상태가 개선됐다고 단정짓기에는 한계가 있다.

21일 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이 공동으로 발표한`2012년 가계금융ㆍ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월 현재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자산평균은 3억500만원(신규 조사항목을 제외한 수치)으로 2011년보다 2.5%가 늘었다. 은행 저축, 전월세 보증금 등 금융자산의 비중이 1.7%포인트 늘어나면서 자산증가의 요인이 됐다. 부동산 자산 평균은 2억2023만원으로 전년보다 0.5% 증가했다. 부채는 5291만원으로 1.7% 늘었는데, 임대보증금 비중이 1.1%포인트 늘어났기 때문이다. 지난해 부채 증가율은 12.7%였다. 순자산 평균은 2억6203만원이다.

이처럼 자산 증가 속도가 부채 증가 속도를 압도하면서 평균 재무건전성은 개선됐다.

부채를 자산으로 나눈 비율(부채비율)은 16.79%로 계산되는데, 이는 지난해 17.3%에 비해 개선된 것이다. 금융부채를 가처분소득으로 나눈 비율(기업의 이자보상비율에 해당)은 103.6%로 지난해보다 6.0%포인트 감소했다. 금융이자를 갚을 수 있는 능력이 커졌다는 얘기다.

그러나 내용을 뜯어보면 소득 상위 20%가 차지하는 비중만이 커졌고, 나머지 소득 계층에서는 `순전히 내 재산`이라고 할 수 있는 순자산의 비중이 오히려 줄어들었다.

특히 소득 하위 20% 계층의 순자산은 고작 8917만원이다. 전년 대비 5.1% 감소했다.

소득 상위 20% 계층의 순자산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포인트 늘어난 반면 나머지 구간의 소득 계층들이 갖고 있는 순자산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모두 감소했다. 일례로 소득 상위 20~40% 구간에 있는 이들의 순자산 비중은 전년보다 1.1%포인트 줄었다. 이들이 갖고 있는 순자산은 2억8183만원으로 소득 상위 20% 구간에 있는 이들의 순자산(6억756만원)과 격차가 컸다.

또 전체 자산 중 30.7%를 차지하는 50대의 금융부채(7634만원)가 증가(3.2%)했다. 다른 연령대 모두 금융부채 감소를 기록한 것에 반해 홀로 늘어난 것이다. 주택, 자녀 사교육비 등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반면 소득 증가율도 3.2%로 40대(7.0%)나 30대(5.6%)에 못 미쳤다. 이 때문에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전년보다 상대적으로 악화됐다.

업종별로는 자영업자의 소득이 1.8% 증가한 것에 그쳤으며 그에 비해 금융부채 증가는 속도가 빨라서 금융부채를 가처분소득으로 나눈 비율은 146.1%에 달했다. 다른 업종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다.

가구 44% 작년소득 3천만원 미만 …1인가구 절반 年소득 1천만원도 안돼

소득 상위 20% 계층이 벌어들인 돈이 전체 가계소득의 절반을 넘었다. 반면 연간 3000만원도 못 버는 가구가 전체 중 44%나 됐고, 1인 가구 가운데 절반가량은 소득 1000만원도 올리지 못했다.

이번 조사 결과로 나타난 지난해 평균 가구소득은 4233만원이다. 소득 상위 20%는 1억65만원을 벌었던 반면 하위 20%는 758만원만을 벌었다. 13배 차이다.

특히 소득 상위 20%의 교육비 지출액은 868만원으로 소득 하위 20%가 지출하는 31만원의 28배에 달했다.

전체 가구 소득에서 소득 상위 20%가 차지하는 비중은 47.6%로 절반에 육박했다. 3000만원 미만 소득을 올리는 가구는 전체 중 44%에 달했다. 소득 액수별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00만~3000만원(30.0%), 3000만~5000만원(25.2%), 5000만~7000만원(14.4%), 1000만원 미만(14.2%), 1억원 이상(6.5%) 순으로 많았다.

1인 가구는 1000만원 미만(48.7%) 소득을 올리는 가계가 가장 많았다. 1000만~3000만원(34.7%)이 뒤를 이었다.

결국 1인 가구 중 3000만원 미만인 곳이 전체 중 83%나 된다는 얘기다. 이는 1인 가구 대부분이 노년층으로 구성돼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소득이 1000만원 미만인 가구들을 따져보면 65세 이상 노인 가구가 61.4%나 됐고 장애인 가구가 32.4%를 차지했다.

 

 

매일경제  2012.12.23